본문 바로가기
지구과학

지구가 둥글다는 건 어떻게 알 수 있을까?

by 소식쿠쿠 2023. 11. 29.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지구는 수많은 과학적 증거와 연구를 통해 둥근 구체의 모양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지구의 모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들과 그에 대한 증거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지구가 둥글다는 증거

1. 지표면의 곡률

지구는 거대한 구체제로, 그 지표면은 약간의 곡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해수면에서 산과 같은 지형까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곡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지구가 평편한 평면이였다면, 멀리 떨어진 지형이 무한히 계속 이어져야 하며 곡률이 존재하지 않아야 합니다.

 

2. 지구의 그림자

지구에는 햇빛을 차단하는 물체가 없다면 그림자가 생기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지표면이 지구의 둥근 형태에 따라 햇빛을 차단하는 영역이 발생합니다. 이는 지구의 그림자를 관찰함으로써 지구의 둥글함을 확인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입니다.

 

3. 고도별 중력의 차이

지구의 중력은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즉, 고도가 높아질수록 중력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중력의 차이는 지구가 둥글게 구성되어 있음을 시사합니다. 만약 지구가 평평한 평면이었다면 중력은 일정하게 분포되어야 합니다.

 

4. 지구의 곡률에 따른 시계의 차이

고도가 높은 지역에 위치한 시계는 지표면에 가까운 지역에 위치한 시계보다 조금 더 빨리 움직입니다. 이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라 지구의 둥근 형태와 중력이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5. 우주 비행 및 위성 궤도

우주 비행선과 인공 위성은 지구 주위를 돌 때 지구의 중력과 회전을 이용합니다. 이들의 운동은 지구가 둥글게 구성되어 있음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궤도를 계획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6. 항공기의 비행 경로

우리 눈에는 항공기가 직선으로 비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지구 곡면을 따라 움직입니다.

인공위성처럼 항공기 또한 장거리 비행 중에는 항상 곡선 모양의 경로를 따라가게 되는데 이는 지구가 둥글게 구성되어 있어야만 나타날 수 있는 경로의 모습입니다.

 

7. 지구의 형태에 따른 해수면 높이

지구의 중력은 지구의 둥글은 형태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므로, 이로 인해 바다 수면도 지구의 모양을 따라 곡률을 나타냅니다. 해수면의 고도를 측정하여 지구가 둥글게 구부러진 모양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8. 지역마다 해를 관찰할 수 있는 시간 차이

지구는 지역마다 크게는 대륙마다 해가 뜨는 시간에 차이가 있는 것을 할 수 있는데 실제로도 동쪽으로 갈수록 해가 뜨는 것을 더 빠르게 볼 수 있게 되는데 이는 태양도 별들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지구가 평평하다면 해는 위치와 시간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보여야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들과 증거들은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합리적으로 입증할 수 있게 만들고 이는 지구의 형태를 이해하며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을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하게 됩니다.